VPC

· Cloud/aws
aws에서 eb를 생성하자. 도입부는 최초의 설정 그대로 진행한다 vpc 설정부에서 기존에 만들어놓은 vpc를 설정하자. 없다면 아래 img를 통해 flow를 이해하고 link 한 문서를 참고하자-> vpc 만들기 아래의 이미지에서 vpc에 private subnet 2개를 적용한다 private이기 때문에 public ip는 비활성화한다 security group이나 instance 유형은 상황에 맞게 적용하자 기존 eb의 instance는 최소 2개의 사양이었다. loadBalencing 설정이 필요하다 가시성은 public을 설정해 주자 eb의 alb에는 위에 vpc에서 사용하는 public subnet을 지정하자 sample에서는 2개가 존재하며 2개다 지정한다 route53 설정하면 dns를 거..
· Cloud/aws
aws vpc란 virtualPrivateCloud의 약어다 독립된 가상의 network공간을 제공하는 aws의 service다 이번에 vpc를 도입하는 이유는 nat 때문이다 먼저 vpc의 구성도를 보면서 내부 instance와 외부의 data흐름을 파악해 보자 만들어보면서 익히는 게 빠르다. aws vpc를 만들어보자 aws console에서 vpc를 찾아 생성버튼을 누른다.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면 vpc 등을 선택한다 "vpc만"으로 만드는 법은 글 하단에 따로 설명하겠다. "vpc 등"으로 선택하여 진행하자 az는 가용성을 높이기 위해 2개 이상을 권장한다고 공식문서에 있다 2개의 az를 지정하여 az별로 private, public subnet를 1개씩 설정한다 외부에 요청하는 ip를 하나로..
· Cloud/aws
redis는 in-memory db다. aws에서는 elasticache로 명 칭이 돼있다 elasticache를 aws console에서 검색하여 redis cluster를 생성해 보자 기본설정 읽어보며 설정대로 진행한다. 일부 설정만 용도에 따라 변경하면 된다 clusterMode는 성능을 얼마나 쓰느냐에 활성화 여부를 나눈다 나는 refreshToken을 저장하는 용도로 redis를 사용할 예정이다 그렇다면 고성능이 필요하지 않다. 비활성화하고 진행한다 노드 유형은 비용을 고려하여 선택한다. awsRedis비용 vpc를 사용하는 경우의 예시를 추가한다 server는 public, priavte 중에 private subnet의 instance에 존재할 것이다 redis 또한 통신을 위해 privat..
tenchoi
'VPC' 태그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