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잘 따라와 주셔서 감사합니다. 이제 카운터의 컨테이너를 만들 것입니다. 그전에 흐름을 한 번 더 살펴봐주세요. 이해가 잘 간다면 다음으로 진행해주세요. #데이터의 흐름 컴포넌트(View)의 버튼(어떤 기능)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컴포넌트의 데이터를 관리하는 용도의 컨테이너에서 클릭된 기능을 dispatch (action)합니다. 클릭된 기능은 액션 타입으로 구분해줍니다. 액션이 실행됐다면 그에 맞는 타입의 리듀서가(모듈) 클릭된 기능을 이행합니다. 이행한 값은 스토어에 저장됩니다. 스토어에 새로운 값이 저장되면 View를 리 렌더링 해줍니다. #카운터 컨테이너 가장 처음 만들 것은 폴더입니다. src경로에 containers 폴더를 만들어줍니다. 만들었을 때 컴포넌트, 컨테이너, 모듈 폴더가 각..
이번 프로젝트는 리액트에서 주로 사용되는 데이터 구조인 리덕스에 대해서 알아보려 합니다. 이해하기 쉬운 카운터를 이용해서 설명할 예정입니다. 제가 느낄 때 기본 패턴보다 Ducks 패턴이 더 편리하여 Ducks패턴을 사용하였습니다. *Ducks 패턴이란 리듀서 함수, 액션 타입 변수, 액션 생성 함수를 하나의 파일에 작성하는 방식입니다.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모듈이라는 폴더를 생성합니다. counter 컴포넌트가 있다면 위의 3가지를 하나의 파일에 몰빵 합니다. ) # 데이터 구조 및 흐름 기초적인 구조를 먼저 설명하고 넘어가겠습니다. 자세한 부분은 진행하면서 풀어가겠습니다. 컴포넌트 : 모든 웹에 보이는 뷰를 담당합니다. 보이기만 하는 껍데기입니다. 컨테이너 : 컴포넌트에서 보이는 기능들을 여기서 처리..